“미래에셋 ISA 해지”는 만기 도래 시점에 절차를 미리 숙지해두는 것이 중요해요. ISA(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는 장기 투자와 절세 혜택을 동시에 누릴 수 있는 계좌이지만, 만기 이후 해지 과정은 다소 번거로울 수 있어요. 특히 미래에셋증권의 ISA 계좌는 비대면으로는 해지가 불가능하고 반드시 고객센터를 통해 전화로 해지 신청이 가능하다는 점을 꼭 알아두셔야 해요.
저는 3년 만기가 되어 ISA를 해지하게 되었어요. 총 투자금은 34,360,439원이었고, 평가자산은 42,412,252원으로 약 800만 원 이상의 수익이 발생했어요.
세금이 공제된 후 실제로 제 은행계좌에 입금된 금액은 41,933,623원이으로 만족스러운 결과였지만, 해지 절차는 생각보다 간단하지 않았어요.
미래에셋 ISA 해지 방법 - 고객센터
미래에셋 ISA 해지를 진행하려면 필수로 미래에셋증권 고객센터(1588-6800)에 전화를 걸어야 해요.
MTS나 HTS에서는 ISA 해지 메뉴가 따로 제공되지 않기 때문이에요.
저도 처음에는 모바일 트레이딩 앱에서 해지 메뉴를 찾아보았지만 결국 찾지 못하고 고객센터로 전화하게 되었어요.
문제는 상담원 연결이 쉽지 않았다는 점이에요.
이런 사태를 잘 알고 있어서 오전 8시가 약간 지난 시점에 전화하였지만 안내는 60분 정도 대기해야 된다는 것이었어요. 하지만 약 30분을 대기하니 연결이 되었어요.
통화연결음만 반복되는 동안 조금 지친 기분이 들었지만, 상담원 연결 후 신분 확인과 해지 의사 확인 과정은 10분 내로 마무리되었어요.
이후 상담원 안내에 따라 해지 요청이 접수되었고, 미래에셋 계좌로 세금을 제외한 최종 금액이 입금되었어요.
미래에셋 ISA 해지 후 자금 활용과 세액공제 전략
해지된 ISA 금액 중 일부는 재투자 계획에 맞게 분배했어요.
특히 절세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저는 해지금 중 3,000만 원을 연금계좌로 이체했어요.
연금계좌에 추가 납입하면 최대 16.5%까지의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어 세후 수익률을 더욱 높일 수 있어요.
ISA 만기자금을 단순 출금하기보다, 이렇게 연금저축 계좌로 옮기면 이중 절세 효과를 누릴 수 있어요.
해지 후기 및 개선되길 바라는 점
미래에셋 ISA 해지를 통해 세후 수익까지 확인하면서 전반적으로 만족스러운 경험이었어요. 하지만 아쉬웠던 점도 있었어요.
요즘 대부분의 증권업무가 모바일로 가능함에도, ISA 해지는 여전히 고객센터에 직접 전화를 걸어야 한다는 점이 불편하게 느껴졌어요. 특히 상담 연결 대기 시간이 길다 보니 단순한 해지만 하는 데도 불필요한 시간 소모가 있었어요.
만약 고객이 MTS나 홈페이지를 통해 직접 비대면 해지를 할 수 있다면 시간도 절약되고 이용 만족도도 높아질 거예요.
앞으로는 이러한 비대면 해지 시스템이 도입되길 기대합니다. ISA 상품은 절세 혜택이 큰 만큼 유지도 중요하지만, 만기 이후 자금 운용까지 전략적으로 접근하는 것이 핵심이에요.
미래에셋 ISA 해지를 앞둔 분이라면 고객센터를 통한 절차와 대기 시간, 그리고 해지금의 연금계좌 이체까지 미리 계획하셔서 효율적으로 진행하시길 추천드려요.


